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 반찬통 냄새 제거
우리나라는 입동과 함께 김장하는 풍습을 가지고 있죠. 입동 전후 5일 내외로 김장을 시작해야 김치가 제맛이 난다는 말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한겨울이 시작되면 추워진 날씨 때문에 배추가 얼기도 하고 딱 맞는 재료들을 구하기가 힘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식구가 많은 집은 100 포기 이상을 담그기도 하면서 김장 품앗이를 하기도 합니다. 집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어쨌든 우리나라 사람들이 김치를 거의 매일 먹다시피 하는 건 변함이 없는데요. 이렇게 자주 섭취하는 음식이다 보니 보관 역시 한가득, 또 오랫동안 하게 됩니다. 갓 김장한 김치도 맛있지만, 푹 익힐수록 특유의 깊은 맛이 살아나죠. 이렇다 보니 오랫동안 김치통에 보관하게 되는데, 김치를 다 먹고 났을 때는 이미 가득 밴 냄새 때문에, 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됩니다. 그 배어 버린 냄새가 마냥 좋지만은 않잖아요. 그냥 반찬통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과 반찬통 냄새 제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
반찬통 냄새 제거
김치통, 반찬통 냄새 제거를 제때 해주지 않으면 나중에 다시 음식을 담으려고 했을 때 불쾌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데요. 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아무런 재료의 사용 없이 햇볕에 말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통을 설거지하고 난 후에 날씨가 좋다면 하루 동안 햇볕에 말려주는 것인데요. 이것만 해주어도 냄새가 전부 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날이 흐리거나 통이 오랫동안 방치되어서 냄새가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면 밀가루와 쌀뜨물을 이용한 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도 있습니다. 세척한 통에다가 밀가루와 물을 1:3의 비율로 넣어준 뒤 뚜껑을 닫고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흔들어 주세요. 냄새가 심한 정도에 따라 밀가루를 좀 더 넣어줘도 됩니다. 그다음 4시간 정도 두었다가 한 번 더 세척하면 반찬통 냄새 제거에 탁월합니다.
마찬가지로 쌀뜨물이 있다면 버리지 말고 김치통 안에 그대로 넣고 반나절 정도만 방치해 두세요. 이러한 방법으로도 김치통 냄새 제거가 충분히 될 수 있습니다. 밀가루, 쌀뜨물 외에도 녹차티백, 설탕, 굵은소금을 넣어두고 몇 시간 둔 채 같은 방법으로 세척해주면 냄새가 없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 집에 베이킹소다가 있다면, 이를 활용해 주어도 괜찮은데요. 몇 번 언급했지만, 베이킹소다는 여러 방면으로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항시 구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반찬통 냄새 제거를 위해 통의 크기에 따라 적정량의 베이킹소다를 넣어주세요. 물도 2/3 정도 채워준 다음 흔들어서 몇 시간 방치해주면 됩니다. 고무 패킹에 배어 버린 김치통 냄새 제거가 가장 힘들기 때문에, 이 패킹까지 따로 분리한 뒤 베이킹소다를 푼 물에 통과 뚜껑을 넣어 몇 시간 두는 것도 좋습니다. 그 외 해결법으로는 사과, 오렌지, 귤과 같은 과일 껍질을 활용하여 용기를 닦아주듯 문질러 준 후 방치해두었다가 다시 헹구면 반찬통 냄새 제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중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해 봤는데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쌀뜨물에 베이킹소다를 섞거나 마지막에는 햇볕으로 말려주는 등 위에서 언급한 김치통 냄새 없애는 방법을 혼합해서 사용해 보세요.
'살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트 세탁법 세탁기 보관법 (0) | 2023.01.11 |
---|---|
건전지 잔량 확인 방법 버리는 법 (0) | 2023.01.10 |
전기장판 분리수거 온수매트 버리는 방법 (0) | 2023.01.04 |
옷 곰팡이 제거법 얼룩 제거 냄새 없애는 법 (0) | 2022.12.30 |
스테인레스 냄비 처음 사용할 때 연마제 제거 (0) | 2022.12.29 |